전체 글
-
결혼과 야채는 일제의 잔재라는 주장모티프/유래 역사 관련 2015. 3. 26. 19:51
간혹 보다보면 결혼結婚은 일본어 혹은 일본식 조어인 켓콘結婚로 일제의 잔재로, '본래 우리나라 말인' 혼인婚姻을 내쫓고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일제의 잔재인 결혼을 지양하고 혼인이라는 말을 사용하자는 의견이 종종 보입니다. 이런 비슷한 주장으로 야채結婚도 일본어 야사이野菜에서 온 말로, 채소菜蔬가 옳다는 의견도 많은데요. 그런데 뭔가 이상합니다. 그네들의 의견과 주장대로라면 일본말(한자)이 조선왕조실록에서 기록되어 있을리가 없고, 그나마도 선조실록이나 고종-순종실록시기에 자주 나와야 해야 합니다. 결혼과 혼인가 쓰인 정도. 혼인이 압도적으로 많으나 결혼은 태조실록에서부터 꾸준히 사용되었다. 야채와 채소 그리고 소채가 쓰인 정도.소채가 62건으로 가장 많습니다. 결혼은 태조실록에서 순종까지 꾸준히,..
-
-
야고코로 에이린 옷에 그려진 상징들의 유래모토네타-게임( 동방 프로젝트 )/캐릭터 설정과 元ネタ 2015. 3. 10. 00:11
한서스님 그림 야고코로 에이린을 보면 청홍색 옷에 다양한 문양이 그려져 있습니다. 이에 대해 혹자는 이런 디자인은 아무런 유래가 없는 속된 말로 센스가 막나간 디자인이라고 일축하기도 하는데, 저는 유래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개념원리 영야초편에서 추측해보았습니다. 이하는 그 내용입니다. 에이린의 옷은 여러가지 심볼이 그려져있습니다.모자에는 거문고자리라고 알려져 있는모양을 한 정체불명 별자리와 적십자가 그려져있습니다. 옷으로 시선을 옮겨보면 에이린 기준으로 왼쪽 위는 북두칠성이 그려져있고, 그 오른쪽엔 카시오페이아자리, 치마 왼쪽에는 N 모양과 S 모양을 닮은 정체불명의 별자리, 오른쪽 부분은 사수자리로 보입니다. 동아시아에서는 서양의 천문학이 도입되기 전까지 독자적인 천문학과 별자리를 가지고 ..
-
헤로도토스의 역사에서 언급되는 피닉스Φοινιξ모티프/유래 역사 관련 2015. 3. 8. 00:37
피닉스는 할리카르나소스의 헤로도토스Ἡρόδοτος ὁ Ἁλικαρνασσεύς가 쓴 역사ἱστορίαι 중 이집트에 관한 기사에 등장하는 신비스러운 동물입니다. 죽어도 다시 태어난다고 하죠. 또 다른 신성한 새가 있는데, 이름은 포이닉스Φοινιξ다. 나는 그 새를 그림으로밖에 보지 못했다. 그 새는 아주 드물게 아이귑토스Αίγυπτος를 찾아오기 때문이다. 헬리우폴리스Ἡλίου πόλις 주민들에 따르면 그 새는 500년에 한 번씩 나타난다고 하는데 아비 새가 죽었을 때다. 그 새가 정말로 그림과 같다면 크기와 생김새는 다음과 같다. 그 새의 깃털은 일부는 금빛이고 일부는 붉은색인데, 외모와 크기는 독수리를 쏙 빼닮았다. 나로서는 도무지 믿기지 않지만, 포이닉스는 다음과 같은 일을 해낸다고 한다. 포이..
-
「천망지망포접의 법」 「天網蜘網捕蝶の法」모토네타-게임( 동방 프로젝트 )/◎ th08 영야초 2015. 3. 8. 00:22
이 스펠카드는 노자에서 나온 구절을 유래로 봅니다. 감행하는 데 용감한 사람은 죽임 당하고, 감행하지 않는 데 용감한 사람은 살아남는다. 이 둘 가운데 하나는 이롭고 하나는 해로운 것이다. 하늘이 싫어하는 것 그 누가 그 까닭을 알리오? 하늘의 도는 겨루지 않고도 훌륭히 이기는 것이고, 말하지 않아도 잘 대응하고, 부르지 않아도 저절로 찾아오고, 느슨하면서도 훌륭히 꾸미는 것이다. 하늘의 그물은 광대하여 엉성한 것 같지만 놓치는 일이 없다. 勇於敢則殺,勇於不敢則活。此兩者,或利或害。天之所惡,孰知其故? 是以聖人猶難之 天之道,不爭而善勝,不言而善應,不召而自來,繟然而善謀。天網恢恢,踈而不失。 노자老子 73장 용어감즉살勇於敢則殺 이 구절은 하늘은 악한 이에게 벌을 내리지 않고, 선한 이를 모른척 하는 것같지만, 반드..
-
텟코우 手甲 혹은 닌자장갑忍者手袋모티프/신화 종교 관련 2015. 2. 21. 00:16
콥등잉여님이 그리신 그림 가끔 만화나 애니메이션 그리고 일본에서 만든 게임을 보면 닌자 캐릭터들을 보면 위의 모양같은 장갑 혹은 위와 매우 유사한(위 장갑은 둥근데 좀 날카로운 인상이라든가) 걸 끼고 있는게 있는데요. 이는 텟코우てっこう) 혹은 테코우てこう라고 부르는 장갑입니다. 정확한 이름은 모르다보니 대체로 닌자들이 많이 끼고 다니기에 닌자 장갑忍者手袋이라며 퉁쳐서 부르기도 합니다. 사실 코스프레 용으로는 텟코우보다는 닌자 장갑이라고 치는게 더 빠르죠. 이 장갑은 발굴된 토우등을 미뤄 보면, 이르게는 4세기 아무리 늦어도 8세기에는 널리 사용된 것으로 추정합니다. 매사냥에 쓰이는 방호구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는 설과 그냥 용도에 맞게 손을 보호하고자 싸멘 것에서 유래했다고 설이 나뉩니다. 이 텟코우라고 ..
-
사식 사충에 대한 잡상모토네타-게임( 동방 프로젝트 )/약간 미묘한 설정 2015. 2. 18. 20:40
사식은 적게는 오곡 나아가서는 음식 자체를 섭식 안하게 되는 수련법인 벽곡을,사충은 삼충을 내쫓거나 경신일에 하늘에 보고하지 못하게해 장수 혹은 불사하게 만드는 수경신(육경신이라고도)에서 따온 말이며, 마법사들이 왜 밥을 먹지 않아도 되고, 늙어 죽지 않는가에 대한 설명을 하기 위해 미아레의 아이가 본인과 대중들에게 비교적 익숙하고 이해하기 쉬운 도교의 관점에서 말을 빌려온 것이 아닐까 생각 중국에 막 건너온 불교도 도교의 용어나 개념을 역어로써 차용하기도 했고,마태오 리치도 가톨릭의 교리를 설명하고자 天 개념을 차용하기도 했던 점과 유사한 뭐 그런 게 아닐런지. 2014/10/05 - [동방프로젝트] - 동방프로젝트내에서 선인이 되는 방법
-
성부「올빼미 밤 울음소리」 声符「梟の夜鳴声」모토네타-게임( 동방 프로젝트 )/◎ th08 영야초 2015. 2. 18. 02:34
성부 「부엉이포효」 声符「木菟咆哮」 부엉이와 올빼미에 대한 이미지를 떠올려보세요. 어떤게 떠오르시나요? 헤겔의 법철학에서 나온 말인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황혼이 저물어야 그 날개를 편다를 떠올리시는 분이 있으실테고, 지혜의 상징이나 보물을 떠올리시는 분도 있을텐데요. 사실 부엉이는 동양이나 서양이나 그렇게 좋은 취급을 받는 새가 아니었습니다. 동양에서는 제 어미마저 잡아먹는 불효한 새로 여겼으며 매우 불길하게 여겼습니다. 이런한 특징은 시경이나 오잡조와 같은 문헌을 통해 볼 수 있습니다. 부엉아 부엉아이미 내 자식 잡아먹었으니내 둥지 허물지 마라알뜰살뜰 보살폈던내 새끼들이 가엽구나. 鴟鴞鴟鴞 旣取我子 無毁我室 恩斯勤斯 鬻子之閔斯 시경詩經 빈풍豳風의 치효鴟梟 명나라 때 사조제라고 하는 관인이 쓴 수필인 오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