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소용돌이 모기향 蚊取線香의 유래모티프/유래 역사 관련 2015. 9. 14. 20:25
여름철만 되면 으레 어느 집이던 하나씩 구비하고 있는 뱅뱅 돌거나 콘센트에 꽂는 모기향을 꺼내 밤마다 피우곤 하는데요. 이런 모기향은 어디서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동북아시아에서는 대체로 쑥이나 삼나무나 소나무 잎을 따다가 그걸 불을 피워 나는 향으로 모기를 쫓았습니다. 어르신 분들이나 캠핑 좋아하시는 분들은 아시거나 한번쯤 피워보신 기억이 있으실겁니다. 일본도 그러한데요. 모기를 쫓아 피우는 이러한 행위를 카야리비蚊遣り火 · 蚊遣火라 불렀습니다. 19세기 우에야마 에이이치로우上山英一郎가 카야리비에 구충효과가 있는 꽃을 도입해 만든 카토리센코우蚊取線香가 지금 사용하는 연기로 모기를 내쫓는 모기향의 유래입니다. 우에야마는 귤농가에서 태어나 지금의 게이오 대학의 전신인 게이오기쥬쿠慶應義塾에 다녔는데 큰 병이 ..
-
국가총동원법 国家総動員法모티프/유래 역사 관련 2015. 9. 1. 22:32
국가총동원법은 일제가 중국 전선에서 지나친 전선 확대와 손실의 증가로 일반적인 체제에서는 인적 물적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기에, 나라가 오로지 전쟁만을 위해 굴러가는 이른바 총력전Total War를 위해 제정한 법입니다. 단순히 일본 뿐만 아니라 합병된 대만과 조선과 괴뢰국 만주국에도 적용되었습니다. 이 법을 기반으로 강제징용, 식량이나 물자 공출, 징병 등이 시행되었습니다. 다음은 원문과 해석입니다.국가총동원법(쇼와13년 법률 제55호) 제1조 본 법에 의해 국가총동원国家総動員이라 함은 전시戦時(전쟁에 준하는 사변事変의 경우를 포함한다) 동안 국방목적 달성을 위해 국가의 전력을 가장 유효하게 발휘하도록 하여, 인적 및 물적 자원을 통제·운용하는 것을 말한다 제2조 본 법에 의해 총동원 물자라 함..
-
일본 황실전범 皇室典範모티프/유래 역사 관련 2015. 8. 19. 21:27
다음은 1889년 제정된 황실전범, 1907년 증보, 1918년 증보, 1947년이상의 전범을 폐지하는 건과 새롭게 수정되어 현재 적용중인 황실전범입니다. 황실전범 (메이지22년 2월 11일) 제1장 황위계승皇位継承 제1조 대일본국황위는 조상에게서 이어진 황통에 의거하여, 남성을 기준으로 남자만이 황위를 계승한다. 제2조 황위는 황장자皇長子에게 전한다. 제3조 황장자가 없을 때에는 황장손皇長孫이 이으며, 황장자 및 그의 자손 모두 없을 때에는 황차자皇次子 또는 그 자손이 이으며, 이하의 경우도 이처럼 한다. 제4조 황자·황손이 황위를 계승할 때는 적출을 우선으로 하고, 황서자손皇庶子孫이 황위를 계승하는 것은 황적자손 모두가 없을 때에 한 한다 제5조 황자손 모두 없을 때에는 황형제皇兄弟 및 그 자손이 잇..
-
남가일몽 南柯一夢의 유래 남가태수전 南柯太守傳모티프/유래 역사 관련 2015. 8. 18. 23:19
남가일몽南柯一夢은 8세기 당나라 때 소설가인 이공좌李公佐가 남긴 이야기인 남가태수전南柯太守傳에서 유래한 말로 인생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빗댄 말입니다. 비슷한 시기에 심기제沈旣濟라는 소설가가 쓴 소설 침중기枕中記에 나온 이야기.한단邯鄲의 노생盧生이 도사 여옹呂翁이 내보인 양쪽으로 구멍 뚫린 청자 베개를 빌려 누워 잠이 들게 되는데 꿈에 베개가 점점 커져 구멍속으로 들어가서 그집 여식과 결혼하고 과거에 급제하고 승진하다 역적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오해가 풀려 재상이 되었다가 80세로 장수하고 죽는 꿈을 꾸었지만 이 일생이 메조밥의 뜸을 다 들이지도 못한 매우 짧은 시간동안 꿈에 불과해 부귀영화와 이에대한 집착이 허망하다는 깨달음얻었다는 내용의 이야기에서 유래한 사자성어이자 뜻이 똑같은 한단지몽邯鄲之夢이 있..
-
조선총독부 설치에 관한 건, 조선총독부 관제모티프/유래 역사 관련 2015. 8. 17. 23:17
조선총독부 설치에 관한 건과 조선총독부 관제는 1910년 8월 22일 조인한 한일 병합 조약을 통해, 29일 경술국치 당일부터 식민지가 되어버린 한국에 총독부를 설치하고 총독부의 관직 제도와 직무범위와 권한등을 명시한 문서들입니다. 이 문서들은 조선 총독부의 총독은 천황 직속으로, 한반도를 다스리며, 군대와 부임지인 한반도에 있는 육군과 해군을 통솔할 수 있으며 인사권을 가지고 있음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천황의 직속이라는 점과 한반도에 한해선 행정,사법,군사 모든 정무를 총괄하는 그야말로 왕이나 다름없는 존재였던지라 조선 총독 후 총리가 되거나, 총리가 조선총독이 되는 이른바 엘리트 코스 직책으로 여겨졌습니다. 조선총독부는 1910년 8월~1945년 9월 3일 38선 이남을 미군정에 인계하면서 해체되어 ..
-
경술국치 庚戌國恥모티프/유래 역사 관련 2015. 8. 17. 22:29
1910년 8월 22일 내각총리대신 이완용과 3대 한국 통감인 테라우치 마사타케는 사전에 논의된, 이미 1년 전 내각 회의를 통해 승인된 조약안을 가지고 명목상 회의를 한 후, 1910년 8월29일 효력이 발휘되는 병합조약을 채결합니다. 이 병합조약의 이름은 한일병합조약으로 국사 시간이나 문학 시간 등에서 거론되는 경술국치입니다. 이 한일합방조약은 한일의정서을 비롯한 여러 조약을 통해 이미 나라로써 제 기능을 못하던 대한제국이 더이상 국가가 아닌 식민지로 강제 편입한 조약입니다. 당시 일본이나 대한제국 내각 구성원들은 '언제 어떻게 합병하느냐'를 두고 있었는데, 몸이 달아오른 송병준이 1909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당시 일본 돈 '1억 5천만엔으로 한반도와 2천여만명의 인구를 사가라'고 흥정했습니다. 매국..
-
1945년 8월 15일 대동아전쟁종결 조서모티프/유래 역사 관련 2015. 8. 15. 21:47
70년전 오늘 정오에 일본 정부는 대동아 전쟁 종결 조서를 라디오를 통해 방송합니다. 이 문서는 포츠담 선언으로 공표된 연합군의 무조건 항복 요구를 수락하고 당시 최고통수권자인 히로히토의 항복선언이 담겨있는 문서로 라디오로 방송되었기 때문에 옥음방송玉音放送이라고도 합니다. 일제의 항복은 일찌기 논의되었지만, 히로시마-나카사키 원폭투하와 소련의 만주 침공으로 발등에 불이 떨어졌고, 연합군측에서 무조건 항복과 천황제 폐지에서 무조건 항복이지만 천황제를 종전후에도 유지를 보장이라는 형식으로 일제의 요구를 부분수용하자 일제는 항복을 하기로 합니다. 정식 항복문서는 1945년 9월 2일 미주리 함USS Missouri, BB-63에서 조인식을 가졌습니다. 흔히, 인간선언을 1945년 8월 15일에 했던 것으로 오..
-
2015년 8월 14일 아베 내각 총리대신 기자회견 담화 전문모티프/유래 역사 관련 2015. 8. 15. 01:12
8월은 우리들 일본인에게 잠시 멈추는 것을 요구합니다. 지금은 먼 과거라는 것이라해도, 지나간 역사를 돌이켜 생각했으면 합니다. 정치는 역사로부터 미래로의 지혜를 배우지 않으면 안됩니다. 전후 70년이라고하는 중요한 단락을 맞아, 지난 전쟁에서 걸었던 길, 전후 걸었던 길. 20세기라고 하는 시대를 되돌아보고, 그 교훈 중에서 미래를 지향해, 세계 속에서 일본이 어떠한 길을 걸어야만 하는가. 깊게 사색하며 구상해야만 한다. 저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동시에 정치는 역사는 겸허하지 않으면 안된다. 정치적, 외교적인 의도를 통해, 역사를 왜곡하는 것은 절대 있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생각도 제 강한 신념입니다. 그렇기에 담화 작상에 있어서, 21세기 구상간담회를 열어, 유식자 여러분의 솔직하고, 철저한 의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