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운명의 붉은 실의 유래. 월하노인 月下老人모티프/유래 역사 관련 2015. 8. 5. 22:13
10세기 말. 송태종宋太宗의 칙령으로 중국 각지의 설화를 모은 설화집. 태평광기太平廣記에는 많은 기이한 이야기가 실려있는데요. 남녀 사이를 이어주는 존재 월하노인月下老人과 부부가 될 사이에 이어진 붉은 실은 태평광기에 실려있는 정혼점定婚店에서 나옵니다. 일본 미디어매체를 통해 우리에게도 그렇게까지 낯설지 않은 새끼 손가락에 이어진 보이지 않는 붉은 실은 이 정혼점에서 나오는 '발목에 묶는 붉은 새끼줄'이 일본에서 변형된 겁니다. 다음은 정혼점입니다. 두릉杜陵 지방에는 위고韋固라고 하는 한 청년이 살고있었다. 그는 일찌기 부모를 여의어, 얼른 아내를 얻고자 하여 노력했으나 좀처럼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정관貞觀 2년에 청하清河에 가려다가 송성宋城의 남쪽 객점에서 묵게되었다. (그 객점의)손님 중에는 이전에 ..
-
비익조 比翼鳥모티프/신화 종교 관련 2015. 7. 31. 21:55
타카쿠 아이가이高久靄厓의 양귀비도楊貴妃図 비익조는 연리지와 더불어 정다운 한 쌍을 빗댈 때에 거론되는 신령스러운 새입니다. 일반적으로 당현종과 양귀비간의 사이를 빗댄 시에서 나온 걸로 유명한데요. 비익조는 중국의 온갖 신화와 전설이 혼합된 지리박물서인 산해경에도 빠지지 않고 나옵니다. 산해경의 서산경 중 서차3경과 해외남경에서 나오는데, 우리가 잘 알고있는 '암수는 한쪽 날개밖에 없어 둘이 꼭 붙어 난다는 것'외로도 우리가 알고 있는 바와는 조금 다른 특징이 제시됩니다. 한번 보시죠. 이 산맥에 속하는 첫머리는 숭오산崇吾山이다. 이 산은 황하 남쪽에 있다. 그 봉우리에 서서 보면 북쪽으로는 총수산冡遂山이 보이고, 남쪽으로는 요택䍃澤이 보이며, 서쪽으로는 천제께서 짐승을 잡아 묶었다고 하는 언덕이 보이고,..
-
동방감주전 표지 캐릭터와 후반부 모티브 추정모토네타-게임( 동방 프로젝트 )/약간 미묘한 설정 2015. 7. 27. 23:38
감紺은 어머니나 어르신분들이 '곤색'이라고 하는 푸른색을 말하며, 주珠는 여의주같은 '보주寶珠'를 말합니다.지구 혹은 물을 말하는 거 겠죠 감주전의 표지 실루엣 캐릭터 혹은 후반부 보스의 모티브나 설정에 대해 추측해보았습니다.들어가기 앞서 동방프로젝트의 설정에서 달의 도시는 다음과 같습니다.달의 도시는 (천진)신들(과 그 후손들)의 도시신토/불교에서 말하는 더러움ケガレ를 떨쳐 수명이 없는 곳달의 도시 = 용궁(천계의 상위 부서를 겸하는)으로 세계관의 최고위 존재들이 자리잡은 곳모티브나 설정상으로도 달과 바다는 동일시 되는 경향이 있음. 약 20여일도 남지 않은 현재 공개된 정보는 크게 두가지입니다 위에 올린 표지와 바로 밑의 4면으로 추정되는 스크린샷인데요한쪽 날개만 있는 백로白鷺라는 스펠카드를 쓰는 장..
-
푸르게 빛나는 백로 요괴. 아오사기노히青鷺火모티프/신화 종교 관련 2015. 7. 27. 21:34
아오사기노히青鷺火는 에도 시대 중엽부터 유행한 새요괴 중 하나로 밤마다 오래 묵은 버드나무나 매실나무에서 푸른 빛을 내어 이를 궁금하게 여기는 사람들을 놀래켰다고 합니다. 이렇게 빛을 낸다는 점에서 아오사기노히는 불덩어리로 변한다든가, 불을 내뿜는다든가 하는 전승이 내려오는데요. 아오사기노히는 정말로 존재했다기 보다는 홍학이 붉어지는 것처럼 왜가리에게 발광하는 박테리아가 축척되어서 빛이 나는 모습으로 오해해 두려워 요괴로 여겼던 것으로 추정합니다. 이름에 들어가는 아오사기青鷺. 즉 백로 중에서도 왜가리의 일본어입니다. 지방에 따라 해오라기五位鷺라고 여겨, 왜가리 대신 해오라기를 넣어, 고이노히五位の火 내지는 고이노히카리五位の光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여담으로 왜가리는 신의 사자로 여겨지는 동물 중 하나입니..
-
의심하는 마음과 의심암귀 疑心暗鬼모티프/유래 역사 관련 2015. 7. 13. 23:13
열어구列御寇가 쓴 열자 설부편은 많은 격언을 담고 있는데, 그중 32번째 이야기는 의심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어느 한 사람이 나무도끼를 잃어버렸다. 그는 자기 옆집 아들놈이 훔쳐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가 옆집 아들놈이 걷는 것만 봐도 도끼 도둑놈같고, 그가 옆집 아들놈의 얼굴을 보아도 도끼 도둑놈같고 그가 옆집 아들놈이 말하는 것만 봐도 도끼 도둑놈같아 보였다. 옆집 아들놈의 동작이나 태도가 어떻게 보아도 도끼 도둑놈처럼 보이지 않을 수 없었다. 얼마지 않아 도끼를 잃어버린 사람은 산골짜기에게 갔다가 우연히 잃어버린 그 도끼를 찾았다. 그 다음날 다시 옆집 아들의 동작이나 태도를 어떻게 보아도 도끼 도둑놈처럼 보이지 않았다. 人有亡鈇者, 意其鄰之子. 視其行步, 竊鈇也;顔色, 竊鈇也;言語, 竊鈇也;動作態..
-
기억의 여신 므네모쉬네Μνημοσυνη에게서 난 학예의 여신들 무사이Μουσαι모티프/신화 종교 관련 2015. 7. 12. 22:10
영어 뮤즈Muse로 유명한 무사Μουσα(무사이Μουσαι는 복수형)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학예의 여신들로보이오티아Βοιωτία의 헬리콘Ἑλικών; 산에 거주하는데, 각각 비극, 독창, 서정시, 천문, 서사시, 역사, 희극, 합창과 춤, 찬가를 담당했다고 믿었습니다. 이 여신들은 제우스와 기억의 (티탄족)여신인 므네모쉬네Μνημοσυνη 사이에서 난 여신들로 헬리콘 산에서 거주하지만 올륌포스 산으로 가서, 신들의 연회가 열릴때 노래를 부르거나 강강수월래 마냥 손에 손을 잡고 둥글게 춤을 춘다고 믿었습니다. 또한, 학예를 담당하는 신으로 신앙된 만큼 많은 그리스 예술가들은 그녀들을 찬양하거나, 자신의 저술이 그녀들에게서 들은 이야기에 불과하다는 식으로 묘사했습니다. 가령 후술할 신통기의 서문은 물론 ..
-
예언하는 무녀 시뷜라/시빌라 σίβυλλα모티프/신화 종교 관련 2015. 7. 11. 05:43
오비디우스Ovidius의 변신 이야기Metamorphoses에 따르면, 트로이 왕족 안키세스와 아프로디테 사이에서 난 아이네아스Αἰνείας는 트로이 전쟁에서 헥토르를 도와 공을 세우지만, 결국 트로이는 멸망하고 유민들을 이끌어 모험을 하다가 이탈리아로 가, 나라를 세우는데요. 시뷜라/시빌라σίβυλλα는 이때에 등장합니다. 그는 이곳들을 뒤로하고 오른쪽으로는 파르테노페Parthenopeia의 성벽 옆을, 왼쪽으로는 나팔수인, 아이올루스Αιολος의 아들의 무덤과 갈대가 무성한 늪지대 옆을 지나 쿠마이Cumae의 해안에 도착한 다음 장수하는 시뷜라σίβυλλα의 동굴로 들어가서는 아베르나를 지나 아버지의 망령을 만날 수 있게 해달라고 105 간청했다. 시뷜라는 한참 동안 땅바닥에 시선을 고정하고 있다가 ..
-
헤로도토스의 역사에서 언급되는 늑대인간모티프/유래 역사 관련 2015. 7. 2. 20:57
네우로이Νέυροι족은 스퀴타이족의 관습을 따른다. 다레이오스의 원정이 있기 한 세대 전에 그들은 우글거리는 뱀 떼를 피해 전 국토를 비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들의 국토에서 뱀 떼가 수없이 나온데다, 사람이 살지 않는 북쪽 지역에서 다른 뱀 떼가 내습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네우로이족은 견디다 못해 나라를 떠나 부디노이족의 나라에 정착했다. 이들 네우로이족은 마법사들인 것 같다. 스퀴타이족과 스퀴티스에 사는 헬라스 인들에 따르면, 네우로이족은 누구나 매년 한 번씩 며칠 동안 늑대가 되었다가 도로 사람이 된다고 하니 말이다. 나는 물론 이 이야기를 믿지 않지만, 그들은 사실이라고 우기며 맹세까지 한다. Νευροὶ δὲ νόμοισι μὲν χρέωνται Σκυθικοῖσι, γενεῇ δὲ μιῇ π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