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동방맹월초 소설판 정발되면서 누락되어있는 구절모토네타-게임( 동방 프로젝트 )/동방프로젝트 2013. 11. 1. 22:23
위는 정발된 맹월초 소설판 초판 1쇄본입니다. 트위터 @arvidonline님께서 제공해주신 맹월초 원서 초판 문제되는 부분입니다. 보시다시피 위에 빨갛게 표시를 한 구절은두 공주는 내 먼 친척이다. 인간 식으로 말하자면 나로부터 보자면 질손의 아내, 또 질손 부부의 자식의 아내라고 하는 꽤나 먼 관계였지만, 나는 두 사람의 교육담당으로써 이런저런 일을 가르쳐 주었다.二人の姫は私の遠い親族である。人間風に言えば私から見て又甥の嫁、及び又甥夫婦の息子の嫁、という何とも遠い縁だったが、私は二人の教育係として様々な事を教えた 정발 초판본에는 누락되어 있습니다. 동방맹월초 소설판 빠진 문구에 대해 디앤씨미디어 측에 문의해봤더니 "역자께서 번역하실때 실수로 누락했거나 편집하는 과정에서 누락된 듯하다. 증쇄본에서 누락된 구절 수정..
-
하치쥬하치야 八十八夜모티프/신화 종교 관련 2013. 10. 19. 10:22
하치쥬하치야八十八夜는 일본에만 있는 잡절雑節 중 하나로, 입춘에서 88일째가 되는 날. 양력으로 5월 2일즈음을 말합니다. 입하立夏의 3일 전입니다. 이때는 봄이 끝나고 여름이 되는 시기로, 농가에서 중요하게 여기던 날중 하나입니다. 이 날을 기점으로 서리가 내리지 않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농가에서는 모판을 못자리에 들이거나, 차나무에서 첫 찻잎을 따는 일을 합니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기온이 내려가 서리가 내리기도 해서 이를 주의하라는 뜻에서 하치쥬하치야의 늦서리八十八夜の別れ霜라는 속담도 있습니다. 하치쥬하치야 날에 딴 새 찻잎은 봄기운을 품고 있다고 해서 1년 내내 수확하는 찻잎 중에서 가장 최고로 여기며, 예전에는 불로장수의 효과가 있다고도 믿었습니다. 이 하치쥬하치야와 찻잎에 관한 노래로 찻잎 따기..
-
일본신화에서 할미새セキレイ모티프/신화 종교 관련 2013. 10. 16. 01:40
일서에서 말하길, 음신이 먼저 "아름답습니다. 예쁘고 사랑스러운 남편이시여."라고 말했다. 음신이 먼저 말한 것은 상서롭지 못하다고 하여, 다시 돌았다. 이번에는 양신이 먼저 "아름답구나 예쁘고 사랑스러운 아내여"라고 하였다. 이윽고 교합하려고 하였으나, 그 방법을 알지 못하였다. 그 때에, 할미새鶺鴒가 날아와서 머리와 꼬리를 흔들었다. 두 신은 그것을 보고 배워서 합하는 방법을 얻었다.一書曰。陰神先唱曰。美哉。善少男。時以陰神先言故爲不祥。更復改巡。則陽神先唱曰。美哉。善少女。遂將合交而不知其術。時有鶺鴒飛來搖其首尾。二神見而學之。卽得交道。 고사기나 다른 서적에서는 나오지 않는 이야기입니다만, 일본서기에서 실려있다보니 사랑을 알려준 새로 묘사되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할미새는 일본에서 한자로는 鶺鴒라고 쓰며, 기본..
-
미샤구지님ミシャグジ様 = 스와코가 아니다.모토네타-게임( 동방 프로젝트 )/동방프로젝트 2013. 10. 15. 00:34
동방에서 스와코의 스펠카드에서도 하얀 뱀으로 "미샤구지님ミシャグジ様"이 등장하는데, 때문에 스와코 = 재앙신 = 미샤구지님ミシャグジ様 이라는 설정이 꽤나 널리 알려져있습니다. 동방프로젝트내에서 스와코 = 재앙신은 맞지만, 스와코 = 미샤구지님ミシャグジ様은 아닙니다. 스와코는 재앙신인 미샤구지님을 다스리는 재앙신일 뿐입니다. 이는 동방구문구수 24페이지에도 실려있는 내용이지만, 꽤나 오해받는 설정입니다. 모티브 신화에서도 타케미나카타가 싸운 것은 (미샤구지님ミシャグジ様을 모시는 신 혹은 동일시되는) 모레야 신입니다. 2013/06/30 - [캐릭터 설정과 元ネタ] - 야사카 카나코八坂神奈子의 모티브 타케미나카타 建御名方神
-
심기루 추가 스킬 및 스펠카드 몇가지 유래 추정모토네타-게임( 동방 프로젝트 )/◎ th13.5 심기루 2013. 10. 12. 15:50
레이무 보구「음양 아스카이」 宝具「陰陽飛鳥井」 후지와라노 후히토藤原不比等의 둘째를 시조로 하는 후지와라 북가藤原北家 중에서 후지와라노 모로자네藤原師実의 둘째 후지와라노 이에타다藤原家忠를 시조로 하는 카잔인 가문花山院家의 방계인 아스카이飛鳥井 가문이 그 유래로 추정. 아스카이 가문과 난바 가문難波家은 공을 발로 차는 놀이인 케마리蹴鞠의 명가. 뱌쿠렌두르가의 혼 ドゥルガーの魂 인도 신화에 나오는 두르가दुर्गा에서 따온 것입니다. 두르가는 데비देवी 혹은 샥티शक्ति라고 하는 여신女神의 본연의 모습 혹은 최고위 존재의 여성적 측면 중 하나로 여덟개의 팔에 각각 무기를 들고 호랑이를 타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집니다. 시바의 아내신으로 그려지기도 합니다. 인도신화에서 거대한 황소인 마히샤가 신들에게서 여자를..
-
이나바 테위는 3,000살을 먹은 한국캐인가?모토네타-게임( 동방 프로젝트 )/동방프로젝트 2013. 10. 8. 23:51
간혹 이나바의 흰 토끼와 여수 오동도에 전해지는 토끼설화가 유사한 점에서 이는 한국 → 일본의 영향이다. 그러므로 이나바의 흰 토끼는 한국의 설화이며 여기서 유래한 캐릭터 이나바 테위는 한국캐릭터이다. 라는 주장이 나오곤 합니다. 과연 그럴까요? 솔직히 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2013/10/06 - [역사, 종교, 전설 등] - 이나바의 흰 토끼 因幡の白兎 2013/10/06 - [역사, 종교, 전설 등] - 오동도의 흰 토끼 이나바의 흰 토끼나 오동도 토끼설화나 남방계 설화의 신화소에 영향을 받은 이야기라고 봅니다. 때문에 위의 주장대로 테위가 한국캐라는 의견은 조금은 국수 민족주의적 해석으로 보입니다. 불교의 본생담과 인도네시아 설화의 강 건너는 쥐사슴 이야기 등과 같이 기본적인 틀이 보이는 점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