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래蓬莱는 중국 민간신앙에서 동쪽 바다 저 멀리로 나아가면 나오는 세상의 끝이자 신선들이 놀고먹는 이상향 삼신산三神山 중 하나인 봉래산蓬莱山을 말합니다. 1
일본서기 21대 유우랴쿠 천황雄略天皇 22년에 미즈에노 우라시마코水の江の浦嶼子라는 사람이 가서 신선을 보았다고 하는 기록이 적혀져있고 2 3, 타케토리모노가타리竹取物語에서 카구야 히메가 쿠라모치 황자에게 내린 난제 봉래의 옥 나뭇가지蓬莱の玉の枝의 원산지로 나옵니다.
4
개풍쾌청凱風快晴은 우키요에 화가浮世絵師인 카츠시카 호쿠사이葛飾北斎의 작품 후지산 36경富嶽三十六景중 한첩의 제목으로 개풍凱風과 쾌청快晴한 날씨의 후지산을 담은 작품입니다. 하지만 후지산 36경하면 역시 개풍쾌청 이외에도 한번쯤은 보았을 법한 그림들도 많죠. 6
요즘 후지산이 무너지네 분화하네 하는데, 후지산은 엄연히 활화산이고 코노하나사쿠야히메木花咲耶姫命가 있다고 하는 곳이지.
관련 글
2012/05/23 - [동방프로젝트/◎ th08 영야초] - 시부「Ephemerality137」 始符「エフェメラリティ137」
2012/05/20 - [元ネタ 및 캐릭터 설정 탐구] - 맹월초에 나오는 미즈에노 우라노시마코水江浦嶋子
2012/05/15 - [동방프로젝트/◎ th08 영야초] - 후지와라「멸죄사원상」 藤原「滅罪寺院傷」
2012/08/06 - [동방프로젝트/◎ th08 영야초] - 난제「봉래의 탄 나뭇가지-무지개 색 탄막-」難題「蓬莱の弾の枝-虹色の弾幕-」
- 때문에 우리나라나 일본에는 봉래라는 이름의 지명이 많죠. 부산의 봉래산이라든가 [본문으로]
- 서기 478년 [본문으로]
- 秋七月。丹波國餘社郡管川人水江浦嶋子乘舟而釣。遂得大龜。便化爲女。於是浦嶋子感以爲婦。相逐入海。到蓬萊山歷覩仙衆 [본문으로]
- 또, 동방맹월초 소설판 3장 참조. 토요히메와 우라시마코의 이야기가 적혀져있죠. [본문으로]
- がいふうかいせい [본문으로]
-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온화한 바람. 따뜻한 바람을 칭하는 단어. [본문으로]
- かながわおきなみうら [본문으로]
- すんしゅうえじり [본문으로]
- 지금의 시즈오카 현静岡県의 시미즈清水지방을 가르킴. [본문으로]
- 토카이도는 쿄토에서 에도를 잇는 길로 에도시대 5대 가도街道중 하나였다. [본문으로]
' > ◎ th08 영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제「용의 턱 구슬-오색의 탄환-」難題「龍の頸の玉-五色の弾丸-」 (2) | 2012.08.03 |
---|---|
난제「불쥐의 털옷-애타지 않는 마음-」 難題「火鼠の皮衣-焦れぬ心-」 (1) | 2012.08.02 |
난제「제비의 자안패-영명선-」 難題「燕の子安貝-永命線-」 (3) | 2012.08.01 |
시부「Ephemerality137」 始符「エフェメラリティ137」 (0) | 2012.05.23 |
후지와라「멸죄사원상」 藤原「滅罪寺院傷」 (0) | 2012.05.15 |
봉래「개풍쾌청 - 후지야마 볼케이노」蓬莱「凱風快晴-フジヤマヴォルケイノ-」 (0) | 2012.05.11 |
TAG 冨嶽三十六景,
凱風,
凱風快晴,
卯酉東海道,
富士山,
富嶽三十六景,
快晴,
木之花咲耶姫命,
木花咲耶姫命,
東海道五十三次,
歌川広重,
水の江の浦嶼子,
浮世絵,
浮世絵師,
竹取物語,
葛飾北斎,
蓬莱「凱風快晴-フジヤマヴォルケイノ-」,
蓬莱の玉の枝,
蓬莱山,
藤原妹紅,
車持皇子,
雄略天皇,
개풍,
개풍쾌청,
교토,
도카이도 고쥬산츠기,
도카이도의 53경치,
동방영야초,
동해도53차,
묘유동해도,
미즈에노 우라시마코,
봉래,
봉래「개풍쾌청 - 후지야마 볼케이노」,
봉래산,
봉래의 옥 나무가지,
스펠카드,
슨슈에지리,
우라시마 타로,
우키요에,
우타가와 히로시게,
유우랴쿠,
죽취물어,
준주강고,
카츠시카 호쿠사이,
코노하나노사쿠야히메,
코노하나사쿠야히메,
쾌청,
쿠라모치,
타케토리모노가타리,
활화산,
후지산,
후지산 36경,
후지와라노 모코우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