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삼월정
-
아메노카가세오天香香背男 아마츠미카보시天津甕星모티프/신화 종교 관련 2015. 6. 25. 21:02
아메노카카세오/아마츠미카보시는 일본서기 '본문'과 해당 본문의 일서에 등장하는 복종하지 않는 신まつろわぬ神으로 18세기 신토 학자이자 사상가였던 히라타 아츠타네平田篤胤가 금성, 별이 빛나는 모습에서 유래한 신으로 정의했습니다. 아메노카카세오/아마츠미카보시 일본서기와 고사기 등에서 최후까지 저항했던 타케미나카타建御名方와 동일시 하는 경우도 있으며, 신불습합을 통해, 불교에서 북극성의 신격화인 묘견보살妙見菩薩과 동일시 되었습니다. 일본서기 9단 본문 아마테라스 오오카미의 아들. 마사카아카츠카치하야히아메노오시호미미노 미코토正哉吾勝勝速日天忍穗耳尊가 타카미무스히高皇産靈尊의 딸인 타쿠하타치지히메栲幡千千姬를 아내로 삼아 아마츠히코히코호노니니기天津彦彦火瓊瓊杵尊를 낳았다. 이에 황조가 되시는 타카미무스히는 (니니기를) ..
-
술벌레 주충酒蟲모토네타-게임( 동방 프로젝트 )/캐릭터 설정과 元ネタ 2014. 8. 11. 01:07
포송령蒲松齡이 지은 요재지이는 기이한 이야기가 많이 실려있습니다. 이 중에는 동방삼월정과 자가선에서 오니들이 술을 담을때 쓰는 술벌레의 유래인 '주충酒蟲'이 나옵니다. 장산현長山縣에 사는 유씨劉氏는 살이 풍만하게 찐 편으로 술을 마시는걸 좋아했다. 그는 혼자 술을 마시더라도 술 한 동이를 줄곧 비웠다. 성 안에서 그리 멀지 않은 기름진 논 삼백 마지기 중에서 반은 항상 기장을 심었는데, 집안이 원체 부유했기 때문에 그가 술을 마신다고해서 형편이 나아지는 일은 없었다. 어느 날 외국의 승려가 유씨를 보고서는 몸에 괴질이 있으리라 생각해 말을 했다.유씨 "난 아무 병도 없어."승려 "당신은 술을 마시더라도 항상 취하지 않지요?"유씨 "그렇습니다."승려가 "이는 술벌레 때문입니다."라고 하니 유씨는 깜짝 놀라..
-
이나바因幡와 미혹의 죽림迷いの竹林 그리고 타카구사高草모토네타-게임( 동방 프로젝트 )/캐릭터 설정과 元ネタ 2014. 7. 22. 23:37
지금은 실전되서 카마쿠라 시대 쓰여진 일종의 사전인 치리부쿠로塵袋에 인용되어 유일하게 살아남은 이나바노쿠니 풍토기因幡国風土記 유일 항목 하얀토끼白兎、因幡白兎 인용된 구절을 보면, 동방삼월정 2부에서 "타카쿠사高草는 이곳 미혹의 죽림迷いの竹林의 옛날 이름이야."라고 하는 레이센 대사의 유래를 알 수 있습니다 이나바노쿠니 풍토기에 의하면, 이 지방에 타카쿠사 군郡이 있다. 그 이름에 대해서는 두가지 해석이 있다. 하나는 들 안에 초목이 높아서 타카쿠사라 이름 붙이고 군명으로 했다고 한다. 또 하나로는 타카쿠사竹草군이다. 여기에 원래 죽림이 있어 이렇게 말하는 것이다.(대나무는 풀의 우두머리라는 의미로 타카쿠사라는 것일까). 이 대나무에 대한 일을 말하자면, 옛날 대나무 안에 늙은 토끼가 살고 있었다. 어느 ..
-
환상향에서는 엔화円貨를 쓴다. 아마도모토네타-게임( 동방 프로젝트 )/약간 미묘한 설정 2012. 6. 17. 08:24
메이지 연호가 열린지 4년째 되는 해 일본은 신화조례新貨条例를 통해1両 짜리 금화 1개 = 1匁 짜리 은화 50개 = 4貫文짜리 동화 체제를 1両 = 1円으로 개편했습니다. 이쪽과 환상향을 가르는 결계가 1885년즈음 쳐진 것을 생각해보면 환상향도 충분히 円을 사용하고 있으리라 추정할수 있죠. 다만, 일본은행 엔화는 대결계이후로 공급이 불가능 하기에, 일본국 일본은행의 엔화는 아닌 독자적인 엔화를 쓸 것같음. 여담으로 , 삼월정에서 유카리가 2천엔을 꺼내는 장면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