겐지모노가타리
-
고양이 ねこ CAT 猫의 어원모티프/유래 역사 관련 2013. 7. 24. 20:02
참으로 귀엽고 몇천년 전부터 우리들과 함께한 고양이. 고양이라는 이름의 어원은 어떻게 될까요? 먼저 우리나라 말 고양이의 유래는 조선 숙종떄 학자인 남극관南克寬의 몽예집夢藝集에서 볼 수 있습니다.고려사에서 방언으로 고양이猫를 고이高伊라고 하였는데, 지금도 그렇긴 하지만 단지 소리가 조금 빨라져 합쳐 한 자로 되었다.高麗史云方言呼猫爲高伊 今猶然但聲稍疾合爲一字고이가 합쳐진 괴에다가 작은 것을 칭하는 접미사 양이가 붙어 괴양이. 괴에서 'ㅣ'발음이 탈락해 고양이가 되었다고 합니다. 영단어 Cat은 로마의 시인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마르티알리스Marcus Valerius Martialis가 고양이를 칭하는 아랍어 쿠타Quttah에서 따와 고양이를 카투스Catus라 하였는데 여기서 유래한 것으로 다른 유럽 제어의 ..
-
우부「덧없는 세상은 괴로운 달구지」 憂符「憂き世は憂しの小車」모토네타-게임( 동방 프로젝트 )/◎ th13.5 심기루 2013. 6. 19. 10:41
본래 일본어 우키요憂き世는 괴로운, 고통스러운 세상을 칭하는 말이었습니다. 여기에 불교 사상이 전래되고 가정이 무너지고 사회가 무너지고 가정이 황폐화되는 이러한 현실 속에서 세상을 염세적으로 바라보아 사람들은 세상을 "그래. 이 세상은 불교에서 말하듯 무상한 것, 거짓된 세계이다."라며 우키요憂き世에 한잣말 浮世의 뜻. 덧없는 세상이 추가됩니다. 괴로운 세상이라는 뜻에 속세, 괴롭고 덧없는 세상이 추가되면서 우키요憂き世의 표기가 浮世, 浮き世 등으로 늘어납니다. 비관적이고 염세적인 생각이 담긴 말이 여럿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스펠카드의 유래가 된 덧없는 세상은 소의 수레바퀴浮き世は牛の小車라는 말입니다. 겐지모노가타리의 일화를 소재로 하여 만들어진 노能 아오이노우에葵上에서 나옵니다.이 세상의 괴로움은 소달..
-
대충 추정한 환상향 의복문화와 모토오리 코스즈本居小鈴의 모티브모토네타-게임( 동방 프로젝트 )/동방프로젝트 2013. 4. 13. 01:43
그림이 조막만 합니다만. 오른쪽 맥주를 든 아가씨를 보면 구두에 에이프런+코소데小袖를 착용한 것으로 보이고 다른 마을 사람들은 딱히 특이하지 않는 기모노를 입었습니다. 환상향은 근대화 이전인 에도 시대때부터 갈라져서 그런거 아니야? 라고 하실 수 있겠지만 하쿠레이 대결계가 쳐진 것으로 추정되는 해는 1884~5년. 메이지 17년 18년이니 메이지 풍으로 보는게 타당합니다. 메이지 시대쯤으로 추정하는 이유는 또하나 있습니다.일본은 메이지明治 2년 12월에 시부자와 에이이치渋沢栄一가 상농공민간 신분차이를 폐지하여 평민平民으로 다이묘大名 쿠게公家를 카조쿠華族로 무사 신분武士身分을 시조쿠士族로 통합합니다. 그리고 2년 후 속칭 해방령解放令이라 하는 령을 통해 에타穢多 히닌非人을 폐지하고 평민과 통합 합니다. 위..
-
미즈하시 파르시水橋パルスィ의 모티브 하시히메橋姫모토네타-게임( 동방 프로젝트 )/캐릭터 설정과 元ネタ 2012. 6. 10. 06:37
하시히메橋姫는 말 그대로 다리橋와 연관된 존재입니다. 고대 일본에서는 다리는 이 곳과 다른 곳을 연결하는 꽤나 이질적인 공간으로 경계신이자 수호신으로 여신이 깃든다고 믿었습니다. 다리에 깃든 여신이 다리를 통해 건너오는 것중 나쁜 것을 건너오지 못하게 수호한다고 믿었습니다. 하시히메라고 하면 지금의 교토 부 우지 시京都府宇治市에 있는 우지바시 다리宇治橋에 있다는 우지의 하시히메宇治の橋姫가 제일 유명하죠. 이 우지의 하시히메는 세오리츠히메瀬織津姫라는 강으로 사람의 더러움이나 죄를 흘려 보내는 여신과 동일시 되며 우지에 있는 하시히메 신사橋姫神社에서 모셔지고 있습니다. 하시히메에게는 "남자를 애뜻하게 기다리는 여성"과 "질투심에 눈이 먼 오니鬼"라는 상대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먼저 엔기延喜 5년에 6..